노회찬재단 - 평등하고 공정한 나라


재단 소식

실천하는 인문예술교실(7) '구술생애사 작업' 3기 모집 (~10.8)

행사안내 2025. 09. 10





노회찬재단 실천하는 예술인문학 교실(7)
서로돌봄과 서로치유의 과정
<구술생애사 작업> 3기


📣 참가신청 바로가기


말해지지 않거나 묵살되어온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는 구술사는 화자 스스로 그 아픔과 한계를 정리하여 먼저 자신과 화해하고, 갈등과 원망의 대상인 타인과도 화해하거나 다른 시선으로 만나도록 하려는 시도입니다. 나아가 개인을 넘어 사회 속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작업입니다.

이 강좌에서는 주목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기록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구술자와 기록자의 서로돌봄 및 서로치유의 과정이 될 것입니다.

상처 투성이인 자신의 삶을 세상을 향해 들려주는 어려운 결정을 한 사람들, 이들의 목소리를 기록으로 남기며 재해석하는 사람들은 모두 우리 역사의 생생한 기록자이며 증인들입니다. 

후속사업으로 본 강좌의 목표인 <구술생애사사팀>을 꾸려,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사회적 약자를 향한 온기 있는 시선 위에 그들을 세상의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의미 있는 생애사 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2023년에 진행된 구술생애사 1기 수료생 후속팀의 작업 결과물이 최근 ⌜우리들의 드라마⌟ 라는 제목으로 후마니타스를 통해 출판 되었으며, 지난 9월 2일 전태일기념관에서 북토크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강좌개요
2025.10.16(목)~11.27(목)
총 7강, 매주(목) 저녁 7~9시
(2회 특강 포함, 특강은 수요일 진행)
노회찬재단 배움터 (5호선 공덕역)

모집안내
모집  2025.9.10(수)~10.8(수)
인원 35명 (참가비 입금 선착순 마감)
참가비 재단후원회원 7만원 / 일반시민 14만원
입금 신한 100-033-739842
(예금주 : 재단법인평등하고공정한나라노회찬재단)

교육일정
1강 10.16(목) 오리엔테이션, 구술생애사의 정의와 쓸모 / 최현숙 작가
2강 10.22(수) <특강>1 존재를 회복하는 책읽기와 경청하기 / 은유 작가
3강 10.30(목) 주인공 선정과정, 인터뷰 사전 준비, 첫인터뷰 / 최현숙 작가
4강 11.06(목) 인터뷰 과정, 검토와 준비, 인터뷰 중의 소통 / 최현숙 작가
5강 11.12(수) <특강>2 기록이 가진 힘과 생각의 힘 / 김익한 교수
6강 11.20(목) 기록에서 서사로: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힘 / 이선주 작가
7강 11.27(목) 연표정리, 사회적 자료 찾기, 과정의 기록, 완료 후 기록, 네트워크 파티 / 최현숙 작가

문의
02-713-0831
hcroh6411@naver.com


 

강사 소개

최현숙 작가
요양보호사와 독거노인 생활관리사로서 노인 돌봄노동에 몸담아왔다. 노인들을 만나면서 구술생애사 작업을 본격적으로 하게 되었다. 저서로 『할배의 탄생』,『막다른 골목이다 싶으면 다시 가느다란 길이 나왔어』, 『천당허고 지옥이 그만큼 칭하가 날라나』, 『삶을 똑바로 마주하고』, 『할매의 탄생』, 『억척의 기원』. 『창신동 여자』, 『힐튼호텔옆 쪽방촌』, 『황 노인 실종사건』 등 다수.

김익한 교수
대한민국 제1호 기록학자. 국내 최초의 기록학 전문대학원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을 설립하고, 한국기록학회장과 한국국가기록연구원장을 역임하며 국가기록관리 제도의 근간을 마련했다. 2020년 이후부터는 국가기록을 넘어 개인 기록의 중요성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교육과 컨설팅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주)문화제작소가능성들의 대표이사로 유튜브 채널 <김교수의 세 가지>를 운영하며 기록이라는 멋진 무기를 활용해 개인이 원하는 성장과 성공에 이르는 길을 전파하고 있다. 저서로는 『거인의 노트』를 비롯해 『파서블』, 『마인드 박스』, 『하루 한 장, 작지만 큰 변화의 힘』등이 있다.

은유 작가
혼자 읽고 쓰기(셀프 인터뷰), 글쓰기 수업하기(집단 인터뷰), 현장 취재하기(르포 인터뷰)가 주요 일과인 집필 노동자. 모임을 기피하고 둘이 나누는 깊은 대화를 좋아한다. 다양한 분야의 글쓰기를 통해 ‘믿고 읽는 작가’로 자리잡았다. 대표작으로, 『아무튼 인터뷰』,  『쓰기의 말들』, 『있지만 없는 아이들』, 『글쓰기의 최전선』, 『해방의 밤』, 『우리는 순수한 것을 생각했다』, 『은유의 글쓰기 상담소』 등 다수.

이선주 방송작가
KBS 라디오 공채작가로 시작해 30여 년간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집필해 왔다. 대표작으로는<KBS 환경리포트>,<MBC 김미화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MBC 뉴스데스크>,<CBS 김현정의 뉴스쇼>등이 있으며,2018년 한국방송작가상을 수상했다.현재는 강연 기획과 제작을 통해 사람과 사회를 잇는 소통의 장을 열고 있으며, 서강대학교 멘토링센터 ‘생각의 창’,우리동물병원생명사회적협동조합, 상록야학에서 활동하며 연대와 공존의 공동체 만들기에 힘쓰고 있다.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에 공유하기
트위터
카카오톡에 공유하기
카카오톡